동문소식

최근 소식

동문상 수상자 인터뷰 - 구현모 KT 대표이사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11-20
  • 조회수  14

구현모 KT 대표이사 - AI 원팀으로 대한민국 ICT 혁신을 이끈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경제는 KAIST가 없었으면 이렇게 빨리 발전하지 못했을 겁니다. KAIST에서 배운 실용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 덕분에 많은 동문이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했다고 생각합니다.”

‘2020년도 KAIST 자랑스러운 동문상’을 수상한 구현모 KT 대표이사는 KAIST 개교 50주년을 맞아 이렇게 털어놓았다.


구 대표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인공지능(AI) 산학연 연합체 ‘AI 원팀’을 통한 AI 국가 경쟁력 강화, 국내 토종 클라우드 산업 발전 등을 주도하며 대한민국 ICT 혁신을 이끌고 있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구 대표는 KAIST 경영과학과 석사 85학번, 박사 93학번이다. 석사 시절에는 서울 홍릉에서 다녔고, 박사 과정에는 대전 캠퍼스와 홍릉 캠퍼스를 모두 경험했다. 그는 “대전 캠퍼스는 대학 캠퍼스 같았고, 홍릉 캠퍼스는 대학원 분위기가 강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또한 “경영대학은 다른 대학에 비해 분위기가 자유로웠다”면서 “학문 성격상 실험을 하지 않고, 책을 보고 토론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서울대 학부에서 산업공학을 전공했던 그가 KAIST 경영과학과 석사 과정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구 대표는“당시 KAIST에 입학하면 장학금 등의 혜택을 받았으며, KAIST는 커리큘럼과 교수진이 좋았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었다”면서 “KAIST는 매우 실용적인 곳이라, 단순히 책을 보고 시험을 치르는 데 그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고 답했다. 어떤 문제든 잘 해결할 수 있는 바탕을 가르쳐주었다는 뜻이다. 당시 학위 논문은 과학기술 논문인용색인(SCI) 등재 저널에 게재해야 했다.


구 대표는 “KAIST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운 것은 기업에서도 도움이 됐다”며 “KAIST 출신 기업가를 만나 보면 매우 실용적인 사고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KAIST 출신은 대학 때부터 실질적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다 보니, 회사에서도 주어진 문제를 본인이 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말이다. 그는 또 “일찌감치 팀워크로 해야 하는 ‘팀프로젝트’를 경험하며 협업하는 것도 배웠다”고 덧붙였다.


현재 구 대표는 KT를 통신기업에서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는 “이전에 통신사업자가 유무선 전화, 인터넷을 통해 사람을 연결하는 데 그쳤지만, 이제 KT는 플랫폼을 만들어서 데이터 및 솔루션 사업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구 대표는 통신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으로 인터넷TV(IPTV)라는 미디어 플랫폼, 기업 메시징 플랫폼, T커머스라는 홈쇼핑 플랫폼 등에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의 적용 영역도 점점 커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지금까지 상담사가 모여 있던 콜센터는 앞으로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인공지능 콜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KT는 KAIST와 협력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2월 ‘대한민국 AI 1등 국가’를 목표로 KT가 주도해 결성한 산학연연합체 ‘AI 원팀’에 KAIST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출범 10개월여 만에 AI 원팀은 공동 R&D를 통해 4종의 AI 기술을 내놓기도 했는데, 그중 하나가 KT와 KAIST 김회린 교수가 협력해 개발한 ‘딥러닝 음성합성’ 기술이다. KT는 올해 1분기에 이 기술을 상용화해 AI 컨택센터, 차세대 기가지니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구 대표는 “올해 KT 직원이 KAIST에서 AI 교육을 받을 것”이라며 협업의 폭을 넓혀갈 구상을 밝혔다.


끝으로 구 대표는 “동기 모임을 하면 KAIST에서 받은 혜택을 고맙게 여기며 기회가 되면 국가에 봉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며 “동문회 기금을 내는 것을 넘어, 자기 분야에서 열심히 해서 국가에 도움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KAIST 대표 뉴스레터 KAISTian 2021 Spring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홍보실 https://www.kaist.ac.k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