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동정
- 총동문회관리자
- 2024-05-22
- 조회수 10
올해부터 10년간 2151억원이 투자되는 국내 자체 개발 대규모 백신 개발을 책임질 수장에 약사 출신의 성백린 교수가 선정됐다.
보건복지부는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 추진을 책임질 사업단장으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성백린 교수)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은 국민 보건안전과 백신주권 강화를 목표로 2018년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기획한 사업으로 2019년 3월 정부 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올해 7월부터 진행되는 감염병 분야 대형 연구사업이다.
오는 2029년까지 10년간 국비 2151억 원이 투자된다.
사업단은 결핵, A형간염, 수족구병 등 주요 감염병 극복을 목표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연계까지 백신 개발의 전주기에 걸쳐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백신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생산공정 연구, 임상시험 시료 생산 등 과제도 지원하여 국내 자체 개발·생산으로 연계되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현재 긴급대응으로 수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개발 연구들의 성과를 이어받아 비임상·임상시험의 후속연구 지원 등 코로나19 백신 개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초대 사업단장으로 선임된 성백린 교수는 1977년 서울대 약대를 졸업했으며, KAIST에서 생물공학 석사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범부처감염병대응연구개발추진위원회(질병관리본부), 국가백신 제품화기술지원사업(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보건복지부 지정 백신개발센터인 면역백신기반기술개발센터장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산업통상자원부) 위원으로 활동 중인 점 등에서 한국의 백신 실용화 사업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았다.
성 사업단장의 임기는 2020년 협약 이후부터 최대 10년(3+4+3년차 평가를 통해 연임 가능)이다.
한편 정부는 신임 사업단장을 중심으로 7월 전까지 사업단 운영체계 등을 신속히 구성·완료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