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기존 불소계 전해질 대체할 고성능 비불소계 전해질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1-13
  • 조회수  79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김진욱 박사과정, 김지오 박사과정 >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포항공과대학교 조창신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장수명 소듐(나트륨금속 음극 및 고출력 해수 전지를 위한 비불소계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불소(F)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여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전지 외에도 다양한 차세대 전지 전해질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다만비싼 가격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강한 독성이라는 문제점을 가져 이를 대체할 비불소계 전해질 (F-free electrolyte)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 교수 연구팀은 기존 불소계 전해질을 대체할 수 있는 비불소계 전해질을 설계해 매우 뛰어난 가격 경쟁력과 불소계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상회하는 전기화학적 성능을 달성했다. 

생명화학공학과 김진욱 박사과정김지오 박사과정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에너지 인바이론멘탈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10월 10권 15호에 출판됐으며후면 표지논문(outside back cover)로 선정됐다. (논문명 Designing Fluorine-Free Electrolytes for Stable Sodium Metal Anodes and High-Power Seawater Batteries via SEI reconstruction)

소듐 금속 음극은 기존 리튬 이온 전지의 흑연 음극을 대체할 수 있는 높은 이론적 용량과(흑연: 372 mAh g-1소듐 금속: 1,166 mAh g-1리튬에 비해 매우 높은 지각 내 존재비로 인해(리튬: 0.002%, 소듐: 2%)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 음극 소재 중 하나다. 

하지만 소듐 금속 음극은 매우 강한 화학적전기화학적 반응성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기 전해액과 반응해 소듐 표면에 불균일하고 두꺼운 고체-전해질 계면을 형성하고이는 충전 과정에 소듐 금속의 수지상 성장(나뭇가지 모양 성장)을 일으킨다소듐 금속의 수지상 성장은 고체-전해질 계면을 파괴해 새로운 소듐 금속을 유기 전해액에 노출시키고 추가적인 전해질 분해를 일으키며낮은 쿨롱 효율전지 단락 등을 발생시켜 전지 구동에 치명적이다. 

기존 불소계 전해질은 소듐 금속 표면에 불화 소듐을(NaF) 형성해 앞서 언급한 소듐 금속의 수지상 성장을 억제한다불화 소듐은 강한 기계적 성질로 인해 소듐 금속의 수지상 성장을 물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불소계 전해질의 높은 가격불산(HF) 부산물 형성 등의 치명적인 문제점이 수반된다. 

그림 1. 수소화붕소 소듐 기반 전해질의 수소화 소듐 기반 고체-전해질 계면 형성 메커니즘

< 그림 1. 수소화붕소 소듐 기반 전해질의 수소화 소듐 기반 고체-전해질 계면 형성 메커니즘 >

연구팀은 수소화 소듐(NaH)이 불화 소듐을 대체할 수 있다는 최근 연구 보고에 착안해 수소화붕소 소듐(NaBH4염을 이써 (ether, C-O-C 결합을 포함계열 유기용매에 녹인 전해질을 설계했다수소화붕소 소듐은 환원제의 일종으로 유무기 합성이 필요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따라서같은 부피의 불소계 전해질을 제작하는 것에 비해 5~10% 정도의 비용만이 소요돼 큰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연구팀은 비행시간형 이차이온 질량 분석을 통해(Time of 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수소화붕소 소듐 기반의 전해질이 수소화 소듐이 우세한 고체-전해질 계면을 형성함을 밝혔다. 

또한산화된 소듐 금속을 수소화붕소 소듐에 장시간 담가뒀을 때산화막이 점차 수소화 소듐으로 전환되는 것을 비행시간형 이차이온 질량 분석을 통해 확인했으며온라인 전기화학 질량 분석(Online Electrochemical Mass Spectrometry)을 통해수소화붕소 소듐 전해질을 이용해 전지 제작 후 8시간 정도의 휴지기에 수소 기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소듐 금속은 산화하려는 성질이 강해 표면에 불가피하게 산화막을 형성하는데수소화붕소 소듐은 환원성이 강해 표면 산화막을 환원시킬 수 있다소듐의 표면 산화막이 환원되면서 수소 기체가 발생함과 동시에 다시 소듐 금속과 반응해 수소화 소듐이 생성되며 연구팀은 이를 `고체-전해질 계면 재건 현상'이라고 명명했다. 

이를 통해수소화붕소 소듐 기반의 전해질은 소듐-소듐 대칭전지에서 600 사이클소듐-알루미늄 반쪽 전지에서 99.67%의 쿨롱 효율을 보여 불소계 전해질에 비해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제공했다.

그림 2. 해수전지 개략도

< 그림 2. 해수전지 개략도 >

더 나아가연구팀은 수소화붕소 소듐 기반 전해질을 해수 전지에 적용했다높은 전류밀도인 1 mA cm-2에서 기존 불소계 전해질은 35회 정도의 수명 특성을 보인 반면수소화붕소 소듐 기반 전해질은 150회 이상의 장수명 특성을 달성했다마찬가지로기존 불소계 전해질의 출력밀도는 2.27 mW cm-2 에 그친 반면수소화붕소 소듐 기반 전해질의 출력밀도는 2.82 mW cm-2로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소화붕소 소듐 기반의 전해질은 비용 절감수명 특성 향상을 통해 해수전지의 상용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인 김진욱 박사과정은 "기존 소듐 전해질의 필수 원소였던 불소 없이도 불소계 전해질의 성능을 상회하는 전해질을 개발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ˮ 라며 "앞으로 비불소계 소듐 전해질과 그에 따른 고체-전해질 계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판단된다ˮ 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한국전력 사외공모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그림 3. 후면 커버 이미지

< 그림 3. 후면 커버 이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