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빛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는 메타렌즈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1-31
  • 조회수  69

사진 1.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 사진 1.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연구팀이 빛의 세 가지 주요 특성인 세기위상편광을 동시에 모두 조절할 수 있는 유니버설 메타표면(universal metasurface)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단일 소자로 빛의 세기위상편광을 모두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을 관측했던 광학 분야의 시초부터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130억 년 전 우주를 볼 수 있게 된 현재까지 풀리지 않는 난제로 남아있었다최근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인공적인 구조체들을 유리 등 기존 소재 표면을 따라 배열해 빛의 특성을 높은 자유도로 조절할 수 있는 메타표면이 이러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관련 연구가 세계 여러 대학과 연구소기업에서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메타표면은 현재 안경 두께의 천 분의 일인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얇은 두께만으로도 렌즈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편광판컬러필터 등 기존 다른 광학 부품들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가능성을 갖고 있어서 여러 종류의 광학필름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OLED 등 현재 상용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시키거나 동영상 홀로그램증강현실(AR) 글래스라이다(LiDAR) 등의 새로운 응용의 광학 부품들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는 다재다능한 기술로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현재까지 보고된 메타표면들은 여전히 특정 색의 빛이 가지는 세 가지 특성 중 일부분만을 동시에 조절(위상과 편광 또는 위상과 세기 등)할 수 있어하나의 소자로 세 특성을 완전히 조절하는 문제는 해결되지 못한 숙제로 남아있었다.

그림 1. 유니버설 메타표면을 통해 구현한 삼차원 벡터 홀로그램. (a) 입사되는 빛의 편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삼차원 벡터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만드는 유니버설 메타표면 모식도. (b) 측정된 홀로그래픽 이미지 결과, 색은 각 지점에서의 편광 상태를 의미.

< 그림 1. 유니버설 메타표면을 통해 구현한 삼차원 벡터 홀로그램. (a) 입사되는 빛의 편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삼차원 벡터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만드는 유니버설 메타표면 모식도. (b) 측정된 홀로그래픽 이미지 결과, 색은 각 지점에서의 편광 상태를 의미. >

연구팀은 행렬과 관련된 수학적 원리에 착안해밀접한 두 층으로 이뤄진 유전체 메타표면이 빛의 세 가지 주요한 특성을 완벽히 조절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밝히고이를 실험적으로 규명했다특히기존에 단일 소자로 불가능했던 벡터 홀로그램들을 제안하고 최초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학문적으로는 메타표면의 편광 선택적인 특성을 통해 맥스웰 방정식을 만족하는 두 가지 독립적인 임의의 3차원 전자기장 분포를 구현하는 방법을 최초로 보였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큰 의의를 갖는다.

또한연구진은 유니버설 메타표면과 일반 렌즈의 조합만으로 임의의 편광 선택적인 선형 광학계의 구현이 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입증했는데이는 푸리에 변환 등을 포함한 복잡한 수학적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광학적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한 가지 예시로 연구팀은 확률론적 양자 CNOT 게이트 배열을 유니버설 메타표면과 렌즈만을 사용해 만들 수 있음을 보였으며이러한 원리는 양자 광학 뿐만 아니라광 통신광 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안면인식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2. 유니버설 메타표면 기반 편광 의존적인 선형 광학계. (a,b) 메타표면과 렌즈 모식도. (c-f) 확률론적인 양자 CNOT 게이트 계산 결과

< 그림 2. 유니버설 메타표면 기반 편광 의존적인 선형 광학계. (a,b) 메타표면과 렌즈 모식도. (c-f) 확률론적인 양자 CNOT 게이트 계산 결과 >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광학 분야의 오랜 난제였던 빛의 세기위상편광의 완전한 조절을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이를 바탕으로 모든 편광 선택적인 선형 광학계 구현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밝혔다ˮ이어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표면의 가능성을 활용하여 기존 한계를 극복한 응용 광소자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계획ˮ이라고 언급했다.

신소재공학과 장태용 박사와 정준교 박사과정생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 11월 3일 字 출판됐다. (논문명 Universal Metasurfaces for Complete Linear Control of Coherent Light Transmission).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및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