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돼지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 활용해 고성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2-05
  • 조회수  77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유형민 석사과정, 임하니 박사후연구원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유형민 석사과정, 임하니 박사후연구원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돼지 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활용해 수백 나노 수준의 매우 얇은 고 치밀성 다중도핑 세라믹 박막 제조 기술을 적용한 고성능의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R-SOFC)는 하나의 연료전지 소자에서 수소 생산과 전력생산이 모두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다. 

이러한 에너지 소자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700o이하의 중저온에서 고활성을 갖는 전극의 개발이 필수적이며이를 위해 코발트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전극이 집중적으로 연구돼왔다하지만 이러한 코발트 기반 전극 소재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지르코니아(ZrO2전해질과 고온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성능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 세리아(CeO2기능층을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세리아와 지르코니아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 공정온도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두꺼운 다공성 구조를 갖게 되어 연료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림 1. (a) 박막용 코팅용액 (b) 젤라틴 공정을 적용한 박막 세리아 기능층 제작 모식도

< 그림 1. (a) 박막용 코팅용액 (b) 젤라틴 공정을 적용한 박막 세리아 기능층 제작 모식도 >

이 교수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젤라틴을 활용해 매우 얇으면서도 치밀한 다중도핑의 세리아 나노박막 제조 공정기술을 개발해 양방향 고체산화물연료전지에 기능층으로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전기화학 및 구조 분석을 통해 치밀한 기능층의 도입으로 산소이온의 이동경로가 크게 감소하며 전기화학적 활성영역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또한 개발된 양방향 연료전지는 기존 공정을 적용한 연료전지 대비 2배 이상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동일소재를 사용한 연료전지 중 가장 높은 성능(3.5 W/cm2, 750oC) 을 나타냈으며수소 생산도 세계 최고성능을 발휘했다또한개발된 연료전지 소자는 1,500시간 동안 열화 없이 구동돼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갖고 있음을 실증했다.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공정들은 대면적 양산시스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기 때문에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고성능 양방향 연료전지 상용화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ˮ이라며 연구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림 2. (a) 코팅용액 농도에 따른 박막 세리아 기능층 미세구조 및 (b) 표면 분석 결과

< 그림 2. (a) 코팅용액 농도에 따른 박막 세리아 기능층 미세구조 및 (b) 표면 분석 결과 >

기계공학과 유형민 석사과정임하니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벤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 19.924) 지난 9월 8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Exceptionally High-performance Reversible Solid Oxide Electrochemical Cells with Ultra-thin and Defect-free Sm0.075Nd0.075Ce0.85O2-���� Interlayers). 또한 해당 논문은 연구의 파급력을 인정받아 표지논문 (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그림 3. 세라믹 기능층 제작 공정에 따른 양방향 연료전지의 (a) 구조 모식도 및 미세구조 (b) 연료전지 성능 (c) 젤라틴 공정을 적용한 연료전지의 장기안정성 평가결과

< 그림 3. 세라믹 기능층 제작 공정에 따른 양방향 연료전지의 (a) 구조 모식도 및 미세구조 (b) 연료전지 성능 (c) 젤라틴 공정을 적용한 연료전지의 장기안정성 평가결과 >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그리고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그림 4.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 앞표지 (Front Cover)

< 그림 4.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 앞표지 (Front Cov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