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실시간 나노 측정이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2-15
  • 조회수  69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정철 교수, 이봉재 교수, 정재우 석사과정, 김태영 박사과정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정철 교수 연구팀이 현미경 사진을 이용해 나노 스케일 3D 표면을 예측하는 딥러닝 기반 방법론을 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물리적 접촉 기반으로 나노 스케일의 표면 형상을 3D 측정하는 원자현미경은 웨이퍼 소자 검사 등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하지만원자현미경은 물리적으로 표면을 스캔하기 때문에 측정 속도*가 느리고고온 극한 환경에서는 작동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

측정 속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 스캔 방식의 효율을 개선해 20 FPS(초당 프레임 수수준의 비디오 프레임 원자현미경이 개발됐지만측정 가능한 표면의 면적이 100제곱마이크로미터(μm2수준으로 제한되며극한의 환경에서는 여전히 작동이 제한된다. 

이에 연구팀은 비접촉 측정 방법인 광 현미경에서 딥러닝을 이용하여 원자현미경으로 얻어질 수 있는 나노 스케일 3D 표면을 예측했다비슷한 개념인 사진에서 깊이를 예측하는 기술은 자율주행을 위해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다연구팀은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는 스케일을 일상생활 범위에서 나노 스케일 범위로 옮겨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했다인공지능 모델로는 입력 데이터에서 대상의 특징을 추출하고추출된 특징에서 출력 데이터를 표현하는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활용했다연구팀이 제안한 모델은 광 현미경 사진을 하나의 변수로 표현하고이후 이 변수에서 현미경 사진을 3D 표면으로 계산하여 나타내는데 성공했다.

*인코더-디코더 구조입력 데이터에서 인공 신경망 혹은 합성곱 층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크기 및 차원을 추출하며 특징을 추출하고 (인코더), 추출된 특징에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코더구조활용 목적에 따라 추출된 특징 혹은 출력 데이터가 사용됨.

그림 1. 새롭게 제안한 현미경 사진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나노스케일 높이 예측 방법론 개념도

< 그림 1. 새롭게 제안한 현미경 사진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나노스케일 높이 예측 방법론 개념도 >

연구팀은 제안된 방법론을 반도체 산업의 센서태양 전지 및 나노 입자 제작에 응용되는 저메니움(게르마늄자가조립 구조*의 공정 중 분석 및 검사를 위해 적용했다광 현미경 사진을 이용해 15% 오차 수준 이내에서 1.72배까지 더 높은 해상도의 높이 맵을 예측하였는데이를 기반으로 각 응용에 필요한 형상의 자가조립 구조가 만들어지도록 실시간으로 공정 과정을 검사하였다또한같은 딥러닝 모델로 어닐링(가열중 동적으로 변하는 표면 형상을 시뮬레이션 하여 공정 과정을 분석 및 최적화하여 기존 공정으로는 불가능했던 공동의 형상을 만들어냈다.

저메니움 자가조립 구조란저메니움 웨이퍼에 마이크로 단위 수직 구멍을 식각 후 고온 어닐링(가열)을 하면 생기는 표면 아래의 공동을 뜻한다가열과정 중 구멍이 식각된 표면이 닫히고이후 표면과 표면 아래 공동의 형상이 함께 변하는데 공동의 형상에 따라 각기 다른 용도로 활용된다연구팀은 이렇게 동적으로 변하는 구조의 표면 높이 맵을 예측했다. 

이번 연구에서 제안된 딥러닝 기반 방법론은 원자현미경으로는 제한돼있던 나노 스케일 표면 높이 맵 측정을 제곱밀리미터(mm2까지의 넓은 표면에 대해 기존 원자현미경 측정 속도 대비 10배에 해당하는 200 FPS까지 측정 가능하도록 속도를 높였으며광학을 이용한 비접촉 관측이기에 극한의 열 환경에서도 측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이번 연구는 광학 현미경 해상도의 물리적 한계인 빛의 파장 이하의 작은 나노 스케일에서 동적인 현상을 현미경만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공정 중 혹은 이후 표면 분석이 필요한 재료물리화학 등에서의 나노 스케일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계 뿐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향후 반도체 사업에는 웨이퍼의 표면 분석 속도와 정확도를 개선함으로서반도체 공정 시 생산 속도와 정밀한 측정으로 수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림 2. 기존 가율주행 연구의 깊이 예측과 이번 연구의 나노스케일 높이 예측 개념도 비교

< 그림 2. 기존 가율주행 연구의 깊이 예측과 이번 연구의 나노스케일 높이 예측 개념도 비교 >

연구를 주도한 이정철 교수는 "개발된 기술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반도체 표면 및 내부 구조에 대해 불연속적인 저해상도 광학 현미경 사진 몇 장만 이용해서연속적인 고해상도 원자현미경 동영상을 생성해내는 최초의 연구로서극한 공정 중 실시간 나노 측정을 대체하는 효과를 가져와 반도체 및 첨단센서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ˮ이라고 말했다. 

한편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인텔리전트 시스템(Advanced Intelligent Systems)에 지난 12월 20일 에 온라인 게재됐으며, 23년 1사분기의 표지 논문(Inside back cover) 중 하나로 선정됐다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그림 3. 국제학술지 표지 이미지

< 그림 3. 국제학술지 표지 이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