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챗GPT에 사용된 트랜스포머로 다공성 소재 예측​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3-30
  • 조회수  95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김지한 교수, 강영훈 박사과정, 박현수 박사과정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김지한 교수, 강영훈 박사과정, 박현수 박사과정 >

다공성 소재는 넓은 공극과 표면 면적을 지니고 있어가스 흡착분리촉매 등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서 적용된다다공성 소재 중 한 종류인 금속 유기 골격체(MOF)는 무한대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갖는 넓은 물질 공간(materials space) 안에 존재하기에인공지능을 사용해 최적의 물질을 추출하고 특성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대부분 특정한 물성 한 종류만 학습할 수 있으며모든 재료 특성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김지한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멀티모달 트랜스포머를 적용한 인공지능(AI)을 통해 다공성 소재의 다양한 물성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멀티모달 트랜스포머는 비디오 프레임과 오디오 트랙웹 이미지와 캡션교육용 비디오와 음성 대본과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신경망 모델의 일종이다. 

김지한 교수 연구팀은 챗GPT(ChatGPT)에서 사용된 모델인 트랜스포머를 다공성 소재에 도입해 모든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멀티모달 인공 신경망을 개발했다멀티모달은 사진(이미지)과 설명(자연어)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함께 학습하며이는 인간과 비슷하게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연구팀이 개발한 멀티모달 트랜스포머 (MOFTransformer)는 원자 단위의 정보를 그래프로 표현하고결정성 단위의 정보를 3차원 그림으로 전환 후 함께 학습하는 방식으로 개발했다이는 다공성 소재의 물성 예측의 한계점이었던 다양한 물성에 대한 전이 학습을 극복하고 모든 물성에서 높은 성능으로 물성을 예측할 수 있게 했다.

그림 1. 멀티모달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범용적 물성 예측 개요

< 그림 1. 멀티모달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범용적 물성 예측 개요 >

김지한 교수 연구팀은 다공성 소재를 위한 트랜스포머를 개발해 1백만 개의 다공성 소재로 사전학습을 진행했으며다공성 소재의 가스 흡착기체 확산전기적 특성 등의 다양한 소재의 물성을 기존의 발표된 머신러닝 모델들보다 모두 더 높은 성능으로 (최대 28% 상승예측하는 데 성공했고또한 논문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에서도 역시 높은 성능으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물질의 특성을 계산 및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으며이를 통해 소재 분야에서 새로운 소재의 설계와 개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기존의 소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더불어멀티모달 트랜스포머는 다공성 소재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소재에도 확장 가능한 범용적인 모델이므로인공지능을 통한 소재 과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2. 멀티모달 트랜스포머의 모델 구조 및 입력 데이터 개요

< 그림 2. 멀티모달 트랜스포머의 모델 구조 및 입력 데이터 개요 >

생명화학공학과 강영훈박현수 박사과정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에 지난 3월 13일에 게재됐다. (논문명A multi-modal pre-training transformer for universal transfer learning in metalorganic frameworks)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국가 소재 연구 데이터 사업단그리고 한국연구재단 (NRF) 중견 연구자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