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다결정 및 단결정 재료 극한 변형 메커니즘 규명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4-14
  • 조회수  78

사진 1. (왼쪽부터)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승현 학생, 위스콘신-메디슨 대학(University of Wisdonsin-Madison)의 커트 브롱크홀스트(Curt Bronkhorst) 교수

< 사진 1. (왼쪽부터)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승현 학생, 위스콘신-메디슨 대학(University of Wisdonsin-Madison)의 커트 브롱크홀스트(Curt Bronkhorst) 교수 >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연구팀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https://continuum.kaist.ac.kr)이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오크리지국립연구소 및 위스콘신대학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초고온 및 초고압용 체심입방 결정재료의 극한 변형 메커니즘을 실험 및 이론적으로 규명.

그림 1 a. BCC Ta의 현미경 사진 b. 미세구조 발달 실험 및 이론 모델 결과 c. 전위 결함 발달 실험 및 이론 모델 결과 d. 실험을 수행한 Los Alamos National Lab의 Neutron Science Center

< 그림 1 a. BCC Ta의 현미경 사진 b. 미세구조 발달 실험 및 이론 모델 결과 c. 전위 결함 발달 실험 및 이론 모델 결과 d. 실험을 수행한 Los Alamos National Lab의 Neutron Science Center >

주기율표의 Group V 및 Group VI에 속한 체심입방 금속재료 (그림 1-a)는 높은 용융점우수한 기계 및 내화학적 성능 및 가공성으로 인해 항공우주원자력 및 초전도체 등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돼왔으며 최근엔 의료기기용 재료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체심입방 금속재료의 극한 환경 하의 변형 및 흐름에 관한 예측은 원자미끄러짐 기반 비탄성 변형 메커니즘 특유의 물리 및 수학적 복잡성으로 인해대부분 경험적 방법론에 의존해왔다또한 기존에 제시된 대부분의 이론 모델들은 단결정 또는 다결정 상태의 극한 거동을 부분적으로만 예측할 수 있었지만본 연구에서는 체심입방 단결정 및 다결정 재료의 극한 거동을 다양한 온도 및 속도 조건에서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연속체역학 기반 이론 모델을 제시하였다연구팀은 새롭게 제시된 이론 모델을 통해 대표적 체심입방금속재료인 단결정 및 다결정 탄탈럼의 극한의 기계적 변형전위 결함 및 미세 구조 발달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그림 1-및 1-c이를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가 보유한 Los Alamos Neutron Science Center (LANSCE)의 중성자 디프랙션 장비를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다 (그림 1-d). 또한 기존의 경험론적 이론 모델에서는 설명할 수 없었던 체심입방 단결정 구조체에서 주로 발견되는 원자 미끄러짐의 불안정성을 수리적으로 규명하였으며이는 향후 극한 환경용 재료 및 구조체 설계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론 및 실험에 관한 국제협력을 통해 얻어졌으며우리학교 항공우주공학과의 조한솔 교수 연구실과 위스콘신-매디슨 대학 기계공학과의 커트 브롱크홀스트(Curt Bronkhorst) 교수 연구실 및 오크리지국립연구소에서 이론 정립 및 단결정 및 다결정 거동 경계값 문제에 관한 수치 계산을 수행하고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서 검증 실험을 수행.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의 이승현 박사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고체 및 응용역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플라스티시티 (Int. Journal of Plasticity) 에 연속 출간.

https://doi.org/10.1016/j.ijplas.2023.103529

https://doi.org/10.1016/j.ijplas.2020.102903

https://arxiv.org/abs/2303.06743 

한편 본 연구에 참여한 박사과정 이승현 학생은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의 여름 프로그램에 지원 및 선정돼 이번 6월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의 이론부에 방문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과제 (2020R1C1C101324813), 기초연구실 (2021R1A4A103278312) 그리고 미국립과학재단 (CMMI 2118399)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