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2.3초만에 고해상도 망막 3차원 이미징 최초 구현​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4-15
  • 조회수  75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오왕열 교수, 이병권 박사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오왕열 교수, 이병권 박사 >

망막의 세포 수준 해상도 이미징 기술은 질병의 조기진단과 망막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필수적이다하지만복잡한 고가의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고도 망막의 매우 좁은 영역과 단일 초점면에서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했던 기술을 뛰어넘어 간단한 표준적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2.3초 이내에 한 번의 이미징으로 넓은 망막 영역의 3차원 모든 부분에서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을 제공하여 망막질환 임상 및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올 기술이 개발되어 화제다.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 망막의 넓은 영역에서 초점 위치뿐만이 아니라 초점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이병권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융합연구분야 선도 저널인 스몰(Small, JIF 15.153) 3월호에 게재됐다. (논문명: Wide-Field Three-Dimensional Depth-Invariant Cellular-Resolution Imaging of the Human Retina.)

망막은 안구의 렌즈를 통해 이미징해야 하기 때문에 안구 렌즈의 수차(난시)로 인해 고해상도 이미징이 어렵다기존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안구 렌즈의 수차를 측정하는 광학 하드웨어와 이를 보정해 이미징 광을 주사하는 광학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적응광학(adaptive optics) 방법이 개발돼왔다하지만이러한 방법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추가의 광학 하드웨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단일 초점면에서만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어, 3차원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초점 위치를 바꿔가며 여러 깊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미징을 수행해야만 했다.

그림 1. 넓은 영역에 걸친 3차원 전부분 세포수준 고해상도 망막 이미징

< 그림 1. 넓은 영역에 걸친 3차원 전부분 세포수준 고해상도 망막 이미징 >

오왕열 교수 연구팀은 간단한 일반적인 광학계를 사용해 3차원 망막 영상을 한 번에 얻고이 영상 데이터에 존재하는 수차와 초점에서 벗어난 부분에서 영상이 흐려지는 디포커싱(defocusing)을 계산을 통해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또한 연구팀은 초고속 위상안정 3차원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광간섭 단층촬영시스템을 함께 개발해 전산적 수차 및 디포커싱 제거 기술의 실제 응용 현장에서의 유용성을 확보했다. 

오왕열 교수는 전산적 수차 및 디포커싱 제거 기술이 적용되려면망막의 3차원 각 위치에서 산란돼 나온 빛의 세기는 물론 위상 값도 모두 정확히 알아야 한다며 넓은 3차원 영역을 고해상도로 이미징하려면 영상 데이터의 양(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 수)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초고속으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이며이에 따라 초고속 위상안정 3차원 이미징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림 2. 초고속 위상안정 망막 OCT 시스템으로 획득하고, 전산적 수차 및 디포커싱 보정을 통해 얻어진 세포수준 고해상도 광수용세포층 영상

< 그림 2. 초고속 위상안정 망막 OCT 시스템으로 획득하고, 전산적 수차 및 디포커싱 보정을 통해 얻어진 세포수준 고해상도 광수용세포층 영상 >

새로 개발된 OCT 이미징 시스템은 기존 OCT 기술들의 위상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면서도현재 가장 빠른 상용 망막 OCT 시스템보다 20배 이상 빠른 이미징 속도를 제공해, 3mm x 3mm 에 걸친 사람 망막의 3차원 영역을 세포 수준으로 촘촘하게 이미징한 위상안정 영상 데이터(약 100억 개의 3차원 화소(픽셀)로 구성)를 2.3초 만에 획득할 수 있게 했다. 

오왕열 교수는 현재 병원에서 사용되는 망막 OCT 시스템과 동일한 간단한 광학계를 사용하면서도피험자 망막의 다양한 깊이 위치에 존재하는 망막 신경섬유층광수용세포층 등 여러 층의 미세구조를 모두 세포수준의 해상도로 보여줄 수 있어실제 망막질환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 이라고 강한 기대를 보였으며, “전산적 수차 및 디포커싱 제거 기술뿐만 아니라이 기술 적용에 필수적인 초고속 위상안정 OCT 기술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이병권 박사의 기여가 절대적이었다라며 공을 돌렸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