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광반도체 소자 집적도 100배 이상 높이다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5-05
  • 조회수  98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

라이다(LiDAR) 및 양자 센서·컴퓨터와 같은 복잡한 광학 시스템을 하나의 작은 칩으로 만들어 줄 수 있어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 집적 광학 반도체(이하 광반도체기술이다기존의 반도체 기술에서 5나노, 2나노 등의 단위로 얼마나 작게 만드느냐가 관건이었는데광반도체 소자에서 집적도를 높이는 것은 성능가격에너지 효율 등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기술이라 말할 수 있다.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연구팀이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100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하나의 칩당 구성할 수 있는 소자 수의 정도를 집적도(集積度)라고 하는데집적도가 높을수록 많은 연산을 할 수 있고 공정 단가 또한 낮춰준다하지만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는 매우 어려운데이는 빛의 파동성으로 인해 근접한 소자 사이에서 광자 간에 혼선(crosstalk)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특정 편광에서만 빛의 혼선을 줄여줄 수 있었는데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새로운 광 결합(coupling) 메커니즘의 발견으로써 기존에는 불가능이라 여겨졌던 편광 조건에서도 집적도를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김상식 교수가 교신저자로 주도하고 미국 텍사스 공과대학 재직 당시 지도하던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라이트사이언스 앤 어플리케이션(Light: Science & Applications)’ [IF=20.257]에 6월 2일 字 게재됐다. (논문명: Anisotropic leaky-like perturbation with subwavelength gratings enables zero crosstalk). 

김상식 교수는 이번 연구가 흥미로운 점은 기존에는 오히려 빛의 혼선을 크게 해줄 거라고 여겨졌던 누설파(leaky wave, 빛이 옆으로 잘 퍼지는 특성을 가짐)를 통해 역설적으로 혼선을 없애준 점이다라며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누설파를 이용한 광 결합 방법을 응용한다면 더욱 작고 노이즈가 적은 다양한 광반도체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림 1. 빛이 개발된 메타물질 기반 광반도체의 도파로(빛이 지나가는 길) 배열에서 혼선 없이 전파되는 것을 묘사한 일러스트.

< 그림 1. 빛이 개발된 메타물질 기반 광반도체의 도파로(빛이 지나가는 길) 배열에서 혼선 없이 전파되는 것을 묘사한 일러스트 >

김상식 교수는 광반도체의 집적도에 있어서 전문성과 연구 업적을 인정받는 연구자다선행 연구를 통해 반도체 구조물을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패턴화해 빛이 옆으로 퍼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손실 메타물질(all-dielectric metamaterial)을 개발했고실험을 통해 이를 입증해 광반도체 집적도에 있어서 세계적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이러한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9, 1893 (2018)’와 옵티카(Optica) 7, 881-887 (2020)’에 보고됐다김 교수는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에서 NSF 커리어 어워드(NSF Career Award)와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에서 젊은과학기술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사업 및 미국 NS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