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기존 반도체 전자소자 공정과 호환되는 신축성 전도체 포토패터닝 방법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5-24
  • 조회수  46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스티브박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건희 박사, 김현지 석사

<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스티브박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건희 박사, 김현지 석사 >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공동 연구팀이 기존의 반도체공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로 패터닝할 수 있는 초기전도성이 확보된 액체금속 기반의 신축성 전도체 필름 제작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신축성 전도체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사용자 친화형 웨어러블 소자신축성 디스플레이소프트 로봇의 전자 피부 개발에 핵심 요소로 여겨져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왔다최근 신축성 전도체 중 하나로 높은 전기전도성과 신축성낮은 기계적 강성을 동시에 만족하고 안정성도 어느정도 확보가 된 갈륨기반의 액체금속 입자가 전도성 필러로 각광받고 있다하지만 액체금속 입자의 경우에는 기계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제한된 형태의 용액공정으로만 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에기존의 금속을 전자소자에 통합하는 방법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어려웠다이런 이유로액체금속 입자 기반의 전자소자는 지금까지 연구실 수준에서 노즐 프린팅스크린 프린팅과 같은 제한된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에 그쳤다나아가서 액체금속 입자는 초기에는 산화막의 존재로 인하여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추가적인 후처리를 통해 전기전도성을 확보해야했다이런 추가적인 공정은 이 새로운 전자재료의 범용성 높은 사용을 막는 큰 장애물이었다. 

이런 기존의 문제를 극복하여연구팀은 기존의 반도체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기반의 패터닝에칭을 이용한 다층구조 통합)과 호환이 가능한 안정적인 형태의 액체금속입자 필름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연구진은 먼저 안정적인 필름을 증착하기 위해 고분자로 쌓인 액체금속 마이크로입자 현탁액을 제작하였다용액전단 방법을 이용하여 이 현탁액을 미리 반도체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이 되어있는 기판 위에 대면적으로 균일하게 코팅을 할 수 있었다특히 현탁액을 물 기반으로 만들어 코팅 과정에서 포토레지스트 (Photoresist)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하여정밀한 패터닝이 가능하게 했다포토레지스트 위에 코팅된 액체금속 입자필름은 유기용매를 이용한 lift-off를 통해 최소 10um의 높은 해상도로 패터닝이 가능했다특히연구진은 이 과정에서 극성유기용매인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여액체금속과 고분자간의 상분리를 유도하였다이 과정에서 액체금속 입자 표면의 고분자와 산화막이 제거되어 다른 추가적인 공정없이 초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을 기판 위에 패터닝할 수 있었다. (그림1)

그림 1. 액체금속 입자 기반 필름의 극성 유기용매 lift-off 공정을 통해 얻어진 초기전도성을 갖는 신축성 전도체의 고해상도 패터닝

< 그림 1. 액체금속 입자 기반 필름의 극성 유기용매 lift-off 공정을 통해 얻어진 초기전도성을 갖는 신축성 전도체의 고해상도 패터닝 >

이 공정을 이용해 제작된 신축성 전도체는 기존의 고체 금속 전도체기반 섬유들과는 다르게 50%의 인장이 가해져도 전기저항변화가 거의 없어 이상적인 신축성 도선의 성질을 보였다기계적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다양한 기판에 전이 (transfer) 공정이 가능하였e액체금속 입자가 패턴된 기판을 마스크 얼라이너 (Mask aligner) 장비 및 에셔 (Asher) 장비를 이용해 고해상도 멀티레이어 회로를 제작할 수 있었다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여 (그림 2)와 같이 신축성 디스플레이유연 로봇에 사용할 수 있는 고해상도 전자 피부 등의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림 2.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제작된 대면적 신축성 디스플레이와 고해상도 로봇 피부

< 그림 2.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제작된 대면적 신축성 디스플레이와 고해상도 로봇 피부 >

우리 대학 이건희 박사김현지 석사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머터리얼즈 투데이 (Materials Today)' 온라인 버전에 7월 14일 출판됐다. (논문명: Large-area photo-patterning of initially conductive EGaIn particle-assembled film for soft electronics) 

연구팀은 "새로운 전자재료를 기존의 표준공정이라할 수 있는 반도체공정에 적용하여 차세대 전자소자의 양산화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있는 연구ˮ라고 말했다"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신축성 전도체인 액체금속의 고해상도 패터닝 및 초기전도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유연 전자소자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 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이건희 박사는 포스코청암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