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플라스틱 친환경 생산 공정 촉매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6-11
  • 조회수  80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 이수성 석사과정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 이수성 석사과정 >

세계 유수의 화학 기업들은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의 하나인 폴리우레탄을 만들기 위해 염산을 촉매로 사용해왔으며이는 많은 독성 폐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이에 염산을 친환경적인 고체 형태의 산 촉매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를 지난 20여 년간 진행해 왔으나 낮은 반응 선택도와 빠른 촉매 비활성화 문제로 한계에 부딪혔다최근 국내 연구진이 염산 촉매 기반 공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 고체산 촉매를 개발하여 화제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 연구팀이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이용진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폴리우레탄 기초 원료인 메틸렌디아닐린 제조에 있어 높은 촉매 활성과 선택도를 갖고 뛰어난 장기 안정성을 갖춘 *LTL 제올라이트 기반 촉매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 LTL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규산 산화물의 결합으로 생성된 다공성결정성 물질로흡착제이온교환제합성세제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소재다국제 제올라이트 학회(International Zeolite Association, IZA)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250여 가지의 제올라이트를 골격구조에 따라 3자의 알파벳 코드로 분류하였다. LTL은 Linde type-L의 약자로, 1차원의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진 제올라이트이다. 

폴리우레탄의 중요한 기초 원료 중 하나인 메틸렌디아닐린은 현재 상용화된 공정에서 염산 촉매를 활용해 여러 단계의 화학 반응을 거쳐 합성된다이러한 전통적인 합성 공정은 부가가치가 높은 4,4’-메틸렌디아닐린의 수율이 높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부식성이 강한 염산을 사용하는 공정 특성상 내부식성을 갖춘 고가의 특수 반응기의 설계가 요구된다또한생성물의 중화 공정과 분리 공정이 필수적이고많은 양의 독성 폐수가 배출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림 1. 메조기공을 통해 확산된 바람직한 반응 중간체만 LTL 제올라이트의 마이크로 기공 내부에서 반응하여 4,4’-메틸렌디아닐린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반응 메커니즘.

< 그림 1. 메조기공을 통해 확산된 바람직한 반응 중간체만 LTL 제올라이트의 마이크로 기공 내부에서 반응하여 4,4’-메틸렌디아닐린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반응 메커니즘. >

메틸렌디아닐린의 제조에 고체산 촉매로 널리 연구되어 온 물질은 마이크로 기공(기공의 직경이 1나노미터 이하)을 가지고 있는 결정성 물질인 제올라이트다하지만 제올라이트 촉매의 경우 메틸렌디아닐린 합성 반응에서의 반응물과 생성물의 분자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마이크로 기공에서의 확산 속도 제한으로 야기되는 낮은 활성이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시사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민기 교수 연구진은 4,4’-메틸렌디아닐린을 선택적으로 합성하고 올리고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최적화된 제올라이트 촉매를 설계했다연구진은 현재까지 발견된 250개 이상의 제올라이트 구조 중 LTL 제올라이트 구조가 4,4’-메틸렌디아닐린의 합성에 이상적임을 발견했다아울러 LTL 제올라이트의 결정 내부에 거대 분자의 확산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추가의 기공을 뚫어서 일종의 '분자 고속도로'를 만들어 느린 분자 확산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마이크로 기공과 메조기공을 동시에 포함하는 신규 LTL 제올라이트 촉매는 일반 LTL 제올라이트에 비해 8배 이상 증진된 활성을 보였으며염산 촉매를 이용한 촉매 공정에 비해 10% 이상 증진된 4,4’-메틸렌디아닐린 수율을 보였다또한 연구진은 신규 개발한 촉매가 장기 연속 반응 공정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무엇보다 큰 장점은 신규 제올라이트 촉매를 사용한 공정은 염산 기반의 공정과 달리 중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폐수 발생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그림 2. 일반적인 LTL 제올라이트와 메조기공이 도입된 신규 LTL 제올라이트의 분자확산 모식도.

< 그림 2. 일반적인 LTL 제올라이트와 메조기공이 도입된 신규 LTL 제올라이트의 분자확산 모식도. >

연구를 주도한 최민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수의 화학 기업들이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던 메틸렌디아닐린의 친환경 생산 공정 개발에 돌파구를 제시한 국내 고유의 기술적 성과라 할 수 있다앞으로 연구진은 한화 솔루션와 긴밀하게 협업해신규 촉매 기술을 상업적으로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세계 최초의 메틸렌디아닐린의 친환경 생산 공정 개발을 국내 기술력으로 달성하고자 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화솔루션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수성 석사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에서 권위적인 국제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지난 6월 27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