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뉴로모픽 신경망으로 컴퓨팅 난제 해결하다​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8-18
  • 조회수  68

exter(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윤성윤 박사과정, 서강대학교 한준규 교수(우리 대학 졸업생)nal_image

<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윤성윤 박사과정, 서강대학교 한준규 교수(우리 대학 졸업생) >

우리 연구진이 현재 반도체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소재 및 공정만을 사용해 초소형 진동 신경망을 구축하여 경계선 인식 기능을 구현했으며 난제 중 하나인 그래프 색칠 문제*를 해결했다.

*그래프 색칠 문제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그래프의 각 정점에 서로 다른 색을 할당해야 하며이러한 색깔 구분 문제는 방송국 주파수가 겹쳐 난시청 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파수를 할당하는 문제 등과도 유사해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음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팀이 실리콘 바이리스터 소자로 생물학적 뉴런의 상호작용을 모방한 뉴로모픽 진동 신경망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이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인간의 뇌 기능을 모사하는 뉴로모픽 컴퓨팅 중 하나인 상호 간 결합된 진동 신경망(oscillatory neural network)은 뉴런의 상호작용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이다진동 신경망은 기본단위에 해당하는 진동자의 연결 동작을 이용하며 신호의 크기가 아닌 진동을 이용해 연산을 수행하므로 소모 전력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림 1. 바이리스터를 사용한 발진 신경망과 그 활용

< 그림 1. 바이리스터를 사용한 발진 신경망과 그 활용 >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 진동자를 이용해 진동 신경망을 개발했다축전기를 이용해 두 개 이상의 실리콘 진동자를 연결하면각각의 진동 신호가 상호작용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동기화(synchronization) 된다연구팀은 진동 신경망으로 영상 처리에 사용되는 경계선 인식(edge detection) 기능을 구현했으며 난제 중 하나인 그래프 색칠 문제(vertex coloring problem)를 해결했다. 

또한 이번 연구는 제조 관점에서복잡한 회로나 기존 반도체 공정과 호환성이 낮은 소재 및 구조 대신현재 반도체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관련 소재 및 공정만으로 진동 신경망을 구축했기 때문에양산에 바로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를 주도한 윤성윤 박사과정서강대학교 한준규 교수는 "개발된 진동 신경망은 복잡한 컴퓨팅 난제를 계산할 수 있는 뉴로모픽 컴퓨팅 하드웨어로자원 분배신약 개발반도체 회로 설계 및 스케줄링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윤성윤 박사과정과 한준규 교수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2024년 3월 24권 9호에 출판되었으며추가 표지 논문(Supplementary Cover)으로 선정됐다.

그림 2. 나노 레터스 추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이미지

< 그림 2. 나노 레터스 추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이미지 >

(논문명 : A Nanoscale Bistable Resistor for an Oscillatory Neural Network)

(https://pubs.acs.org/doi/full/10.1021/acs.nanolett.3c04539).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 및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