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수술 후 방광 기능은 전자센서로 모니터링하세요​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8-24
  • 조회수  57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권경하 교수, 박도윤 석사과정,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김지혜 박사

<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권경하 교수, 박도윤 석사과정,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김지혜 박사 >

방광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의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 카테터삽입없이 방광 기능을 안전하게 모니터링하는 생체전자 시스템이 개발되어 화제다.

*카테터방광에 삽입하는 고무 또는 금속제의 가는 관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권경하 교수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 김지혜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방광의 크기 및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부분적 방광절제술*은 긴 회복 기간이 필요하며이 기간에 요로 동역학 검사**(이하 UDS)를 통해 몸 밖으로 소변을 배출하는 기능을 간헐적으로 평가한다그러나 UDS는 환자 친화적이지 않으며 사용자마다 결과에 변동성이 있고연속적인 데이터 수집 능력이 제한된다또한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의 위험을 초래하며고위험 환자에게서는 상행성 신우신염으로 진행되기도 한다이러한 UDS의 적절한 대안으로요로에 카테터를 삽입하지 않고 방광의 상태를 연속적이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부분적 방광절제술방광에 종양이 있는 부위를 잘라내고 나머지 방광을 이어 붙여주는 수술

**요로 동역학 검사방광과 요도의 전반적인 기능을 확인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한 진단적 검사 

이에 연구팀은 방광의 충전 및 배뇨와 관련된 기계적 변형 변화를 무선 원격 측정할 수 있는 이식형 방광 플랫폼을 개발했다이 시스템은 생분해성 스트레인 센서를 이용해 방광의 크기와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회복 기간이 끝나면 해당 센서가 신체 내에서 자연스럽게 용해돼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모니터링 장비 제거를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 없고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것은 물론 환자의 편안함과 회복 시간을 개선한다.

그림 1. 방광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이식형 플랫폼 (위), 쥐 모델 실험 셋업 (중간), 개코원숭이 실험 셋업(아래)

< 그림 1. 방광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이식형 플랫폼 (위), 쥐 모델 실험 셋업 (중간), 개코원숭이 실험 셋업(아래) >

연구팀은 이 플랫폼을 이식 후 최대 30일까지 실시간 변화를 재현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쥐 모델에서 입증했다또한 개코원숭이 실험을 통해해당 기술이 전통적인 UDS와 비교해 최대 8주까지 압력 측정의 일치성을 보였다이러한 결과는 해당 시스템이 장기간 수술 후 방광 회복 모니터링을 위한 UDS의 적절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권경하 교수는 "비인간 영장류(개코원숭이)를 활용한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방광 기능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의 효능을 입증했다ˮ면서 "환자들의 회복 시간을 단축하고 전반적인 수술 결과를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에 지난 4월 2일 발표됐다(논문명 A wireless, implantable bioelectronic system for monitoring urinary bladder function following surgical recovery, 링크https://www.pnas.org/doi/abs/10.1073/pnas.2400868121?af=R) 

한편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사업 및 BK2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