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극미량 돌연변이 세포로도 뇌질환 발생한다​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10-10
  • 조회수  56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

<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 >

뇌를 포함한 모든 신체 기관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모자이시즘)을 피할 수 없다그렇다면 과연 몇 개의 신경세포에 질병 유발 돌연변이가 생겨났을 때부터 전체 뇌신경 회로를 망가트려 뇌 기능 이상을 일으킬 수 있을까? 

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이 뇌세포 특이적 돌연변이(뇌 체성 모자이시즘)에 의한 소아 난치성 뇌전증 동물 모델과 환자 뇌 조직 연구를 통해 0.1퍼센트 이하 비율의 극미량 돌연변이 신경세포에 의해서도 뇌 전체 기능 이상을 유발해 뇌전증 발작이 발생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이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의 돌연변이 유전자 진단에 있어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극미량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다양한 뇌 질환 유발에 관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이번 연구의 결과는 세계적 신경 의학 학술지 `브레인(Brain)'에 지난 6월 25일 字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과연 얼마나 적은 수의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 모자이시즘이 누적됐을 때 이것이 전체 뇌 기능 이상을 유도하는 뇌 질환 발생으로 이어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고자마우스 질병 모델과 인체 조직을 이용한 중개의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그림 1. 마우스 뇌전증 모델에서 8,000~9,000 개 이상의 변이 세포 존재시 뇌전증 발작 유발됨 확인 (A) 모델 제작 과정 (B) 변이세포 측정 과정 모식도 (C) 체성감각영역 및 (D) 전전두엽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8천에서 9천개 이상의 변이 세포를 기준으로 하여 발작 유발이 시작될 수 있음을 규명

< 그림 1. 마우스 뇌전증 모델에서 8,000~9,000 개 이상의 변이 세포 존재시 뇌전증 발작 유발됨 확인 (A) 모델 제작 과정 (B) 변이세포 측정 과정 모식도 (C) 체성감각영역 및 (D) 전전두엽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8천에서 9천개 이상의 변이 세포를 기준으로 하여 발작 유발이 시작될 수 있음을 규명 >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 조직에 뇌전증 유발 체성 모자이시즘*을 최소 수백 개에서 최대 수만 개의 세포에 유발했다이때 고작 8천에서 9천 개 수준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나타날 때부터실험용 쥐가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고관련된 병리가 나타남을 관찰했다더 나아가난치성 뇌전증 환자 뇌 조직에서 대용량 유전정보 증폭 시퀀싱을 수행해(ultra-high depth amplicon sequencing) 정확한 변이 모자이시즘 비율을 측정했고최소 0.07%에 이르는 뇌전증 유발 체성 모자이시즘을 관찰했다.

*체성 모자이시즘(Somatic Mosaicism): 하나의 수정란에서 분열 및 분화를 통해 우리 몸을 이루는 약 30조 개의 세포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세포마다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암의 진화뿐만 아니라 비암성 질환에서도 중요한 질병 원인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음. 

이 발견은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에 이르게 되는 난치성 뇌전증의 유전적 정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또한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수많은 난치성 신경 정신의학적 질환들이 뇌의 발생과 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극소량의 미세 돌연변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림 2. 국소피질이형성증 환자 유전진단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유전 변이가 발작과 연관될 수 있음을 규명

< 그림 2. 국소피질이형성증 환자 유전진단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유전 변이가 발작과 연관될 수 있음을 규명 >

이번 연구는 국소 피질이형성증*의 진단법 향상 및 체성 모자이시즘에 의한 뇌 질환 원인 발견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연구 성과는 KAIST 교원 창업 기업인 소바젠(대표 박철원김병태)을 통해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체성 모자이시즘 변이를 정밀 타겟하는 혁신 RNA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예정이다.

*국소 피질이형성증뇌 발달 과정 중 대뇌 피질에 국소적으로 신경세포이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기존 항뇌전증 약물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 소아 난치성 뇌전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졸업생 의사과학자이자 논문의 제저자 김진태 박사는 "극미량의 체성 돌연변이라도 뇌의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졌고이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 등의 유전적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ˮ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경배과학재단한국연구재단보건산업진흥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