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햇빛만으로 결빙 방지되는 필름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7-02
  • 조회수  43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 편정수 박사과정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 편정수 박사과정 >

열선스프레이 및 오일 주기적 도포기판 디자인 변경 등 없이도 금나노입자의 광열 효과를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빙/제빙 필름 코팅 기술이 개발되었다.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 연구팀(유체 및 계면 연구실)과 화학과 윤동기 교수 연구팀(연성 물질 나노조립 연구실)의 공동융합연구를 통해 단순 증발만으로 금 나노막대 입자를 사분면으로 균일하게 패터닝 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이를 이용해 결빙 방지 및 제빙 표면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다양한 코팅 기법을 이용해 목표물 표면의 성질을 제어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특히기능성 나노 재료 패터닝을 통한 방식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이 중에서도 금 나노 막대(GNR)는 생체 적합성화학적 안정성비교적 쉬운 합성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라는 안정적이면서도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유망한 나노물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이때금 나노 막대의 성능을 극대화하려면 높은 수준의 증착 필름의 균일도와 금 나노 막대의 정렬도를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현재 이를 구현하는 것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큰 문제다.

그림 1. 균일 사분면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매트릭스 형성에 대한 유체역학적 원리

< 그림 1. 균일 사분면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매트릭스 형성에 대한 유체역학적 원리 >

이를 해결하고자공동연구팀은 자연계에서 쉽게 추출이 가능한 차세대 기능성 나노 물질인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NC)를 활용했다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사분면 템플릿에 금 나노 막대를 공동 자가 조립해 균일하게 건조되면서 코팅 전체 면적에 환형으로 균일하게 정렬된 금 나노막대 필름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번 연구에서 획득한 높은 균일도와 정렬도를 갖는 금 나노막대 필름은 기존 커피링 필름과 비교해 향상된 플라즈모닉 광학/광열 성능을 보였으며이는 가시광선 파장 영역대의 빛 조사만으로 방빙/제빙 역할을 해낼 수 있음을 연구팀은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그림 2. 금 나노막대 필름의 광학적 열적 성능 평가 결과 및 방빙 제빙용 플라즈모닉 히터 시연

< 그림 2. 금 나노막대 필름의 광학적 열적 성능 평가 결과 및 방빙 제빙용 플라즈모닉 히터 시연 >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는 이 기술은 플라스틱 및 유연 표면 위에도 제작이 가능해 이를 외장재 및 필름에 활용하면 자체적으로 열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어겨울철에 큰 문제가 되는 자동차 성에항공기 제빙주거/상용 공간의 유리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발적 열에너지 하베스팅 효과를 통해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한편 화학과 윤동기 교수는 필름화하기 힘들었던 나노셀룰로오스-금입자 복합체를 대면적에서 자유롭게 패터닝해 결빙 소재로 사용할 수 있고금의 플라즈모닉 성질을 이용한다면 마치 유리를 장식하는 스테인드 글래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림 3. 연구 결과물 사진

< 그림 3. 연구 결과물 사진 >

해당 연구 결과는 기계공학과 편정수 박사과정박순모 박사(KAIST졸업現 코넬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했으며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023년 12월 8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논문명 : Plasmonic Metasurfaces of Cellulose Nanocrystal Matrices with Quadrants of Aligned Gold Nanorods for Photothermal Anti-Icing, https://doi.org/10.1038/s41467-023-43511-9) 그리고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 저널재료과학과 화학(Materials Science and Chemistry)’ 과 무기 물리화학(Inorganic and Physical Chemistry)’ 두 편집자 하이라이트(Editors’ Highlights) 페이지에 선정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 중견 연구(MIST: 2021R1A2C2007835)와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MSIT: 2018R1A5A1025208)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