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음악 본능을 인공지능으로 밝혀내다​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7-08
  • 조회수  26

(왼쪽부터)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 김광수 박사, 김동겸 박사

< (왼쪽부터)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 김광수 박사, 김동겸 박사 >

음악은 세계 공통어로 불릴만큼 문화적 보편 요소로 알려졌다그렇다면 어떻게 다양한 문화권의 환경 차이에도 불구하고, ‘음악적 본능은 어느 정도 공유될 수 있는 것일까? 

우리 대학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 연구팀이 인공신경망 모델을 활용해사람 뇌에서 특별한 학습 없이도 음악 본능이 나타날 수 있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 학자들은 다양한 문화권에 존재하는 음악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규명하고어떻게 이런 공통성이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고자 시도해 왔다. 2019년 세계적인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게재된 연구를 통해 민족지학적으로 구분된 모든 문화에서 음악을 만들어 내고유사한 형태의 박자와 멜로디가 사용된다는 것이 발견됐다또한신경과학자들은 우리 뇌의 청각 피질(Auditory cortex)에 음악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특정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인공신경망을 사용해음악에 대한 학습 없이도 자연에 대한 소리 정보 학습을 통해 음악 인지 기능이 자발적으로 형성됨을 보였다. (그림2) 연구팀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대규모 소리 데이터(AudioSet)를 활용해인공신경망이 이러한 다양한 소리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학습했다흥미롭게도연구팀은 네트워크 모델 내에 음악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뉴런(신경계의 단위)이 발생함을 발견했다사람의 말(speech), 동물 소리환경 소리기계 소리 등의 다양한 소리에는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으나 기악이나 성악 등 다양한 음악에 대해서는 높은 반응을 보이는 뉴런들이 자발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인공신경망 뉴런들은 실제 뇌의 음악정보처리 영역의 뉴런들과 유사한 반응 성질을 보였다예를 들어인공 뉴런은 음악을 시간적으로 잘게 나누어 재배열한 소리에 대해 감소된 반응을 보였다이는 자발적으로 나타난 음악 선택성 뉴런들이 음악의 시간적 구조를 부호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이러한 성질은 특정 장르의 음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클래식재즈전자음악 등 25개에 달하는 다양한 장르 각각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림 1. 뇌와 인공신경망의 음악성 일러스트레이션 (논문 내용을 바탕으로 DALL·E3 AI로 생성됨)

< 그림 1. 뇌와 인공신경망의 음악성 일러스트레이션 (논문 내용을 바탕으로 DALL·E3 AI로 생성됨) >

심지어네트워크에서 음악 선택성 뉴런의 활동을 억제하게 되면다른 자연 소리에 대한 인식 정확도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음을 보였다음악 정보처리 기능이 다른 자연 소리 정보처리에 도움을 주며따라서 음악성이란 자연 소리를 처리하기 위한 진화적 적응에 의해 형성되는 본능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주도한 정하웅 교수는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음악 정보처리의 공통된 기저를 형성하는데자연 소리 정보처리를 위한 진화적 압력이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과 유사한 음악성을 인공적으로 구현하여음악 생성 AI, 음악 치료음악 인지 연구 등에 원천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그러나 현 연구는 음악 학습에 의한 발달 과정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발달 초기의 기초적인 음악 정보처리에 대한 논의임을 주의해야 한다고 연구의 한계를 덧붙였다.

그림 2. 음악이 포함되지 않은 자연소리 인식을 학습한 인공신경망의 잠재 공간에서 음악과 비음악의 구분

< 그림 2. 음악이 포함되지 않은 자연소리 인식을 학습한 인공신경망의 잠재 공간에서 음악과 비음악의 구분 >

우리 대학 물리학과 김광수 박사(現 MIT 뇌인지과학과)가 제저자로김동겸 박사(現 IBS)와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출판됐다. (논문명: ‘Spontaneous emergence of rudimentary music detectors in deep neural networks’, 국문 번역: ‘심층신경망에서 음악 인지기능의 자발적 발생’)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