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모교 소식

[연구]세계 최고 속도 입체적 조명 기술 개발​
  • 총동문회 관리자
  • 2024-08-23
  • 조회수  53

(왼쪽부터) 바이오및뇌공학과 장무석 교수, 송국호 박사과정

< (왼쪽부터) 바이오및뇌공학과 장무석 교수, 송국호 박사과정 >

디스플레이(조명기술에서는 고속화가 아주 중요한 성능 중 하나로 꼽힌다최근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화면 전환 속도가 기존의 초당 60회보다 크게 향상된 초당 120회의 고속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이런 고속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델의 이용자들 사이에 한번 경험하면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고속화는 상업적인 가치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장무석 교수 연구팀이 북해도대학 전자과학연구소의 시부카와 아츠시 부교수미카미 히데하루 교수오카야마대학 의··약과학과의 스도 유키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고속의 3차원 광 패턴 조명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광 패턴 조명 기술빛을 특정 패턴이나 형태로 조절하여 원하는 조명 효과를 얻는 기술 

광 패턴 조명 기술은 우리에게 친숙한 디스플레이나 빔프로젝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디스플레이나 빔 프로젝터 내부에는 원하는 이미지나 모양 등을 화소 단위로 만들어낼 수 있는 광 패턴 조명 장치인 공간 광 변조기*가 사용되고 있다이외에도 광 패턴 조명 기술은 최근 주목받는 가상 현실 기술 분야의 핵심 요소 기술인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에도 사용되며산업 분야에서는 금속 가공연구 분야에서는 뇌 심부 이미징을 위한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등에 사용되고 있다.

*공간 광 변조기빛을 화소 단위로 조작하여 원하는 이미지나 모양을 만들어내는 장치로빔 프로젝터나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 등에 사용되는 장치 

하지만 공간 광 변조기는 조명 패턴의 전환을 고속으로 수행하는 데 큰 한계를 겪고 있었다현재 시판되는 공간 광 변조기는 액정형 디스플레이 장치나 디지털 미러 장치가 있지만통상적인 전환 속도는 50마이크로초에서 10밀리초 수준으로 제한되며원리적으로 이보다 더 빠르게 만드는 데에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공간 자유도-시간 자유도 사이의 치환 개념을 개발하고이를 독자 개발한 초고속 1차원 광 변조기와 산란 매질*을 결합하여 구현하는 방식으로시판되는 공간 광 변조기보다 약 1,500배 빠른 30나노초의 전환 속도를 갖는 세계 최고 속도의 3차원의 조명(디스플레이기술을 개발했다.

*산란 매질안개나 물방울 맺힌 유리창처럼 빛을 무질서하게 굴절시키는 물질 

연구팀은 빛의 전파를 교란하는 산란 매질의 특성을 역이용해 1차원의 광 패턴을 사용자가 원하는 3차원의 패턴으로 변환하기 위해 복잡 광 파면 조작 기술을 핵심 기술로 활용했다.

그림 1. 산란매질을 역이용한 초고속 광 패턴 조명 기술 그림

< 그림 1. 산란매질을 역이용한 초고속 광 패턴 조명 기술 그림 >

연구팀이 개발한 세계 최고 속도의 광 패턴 조명 기술은 특정 각도에서만 볼 수 있는 기존의 2차원 유사 홀로그램과 달리 실제로 3차원 공간상에 광 정보를 재구성해 입체 영상을 만드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그뿐만 아니라 광유전학 기술에 기반한 뇌 신경 조절 기술과 같은 생체 조절 기술의 고속화·대규모화나 금속 3D 프린터 등의 광 가공 생산 효율 향상 등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전망이다.

*광유전학 기술빛을 이용해 살아있는 생물 조직의 세포를 제어하는 기술 

해당 연구 결과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송국호 박사과정이 공저자장무석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024년 4월 8일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논문명 : Large-volume focus control at 10 MHz refresh rate via fast line-scanning amplitude-encoded scattering-assisted holography)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우수신진연구자 사업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차세대 대인 보안검색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